안녕하세요 지식잡지의 네모입니다. 오늘은 조금은 색다른 파트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뭐 제가 엄청난 사람은 아니지만, 그래도 흥미롭고 또 아주 약간은?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하기 위해서 선택한 주제입니다. 그 주제는 바로 연애에 대한 관점이죠. 남과여의 차이들을 좀 밝혀보면서, 동시에 다양한 팁, 심리학적인 이야기들을 해볼까 합니다. 오늘은 그 시작점으로 여러가지 심리학 효과들을 대해서 슬슬 다뤄볼까 합니다. 함께 보시죠.



일반심리학의 관점

기본적으로 연애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이를 사랑의 측면에서 과학적으로 풀어낼 수도 있구요, 사회적 측면에서 사회과학으로 볼 수도 있으며, 지난번에 이야기했던 진화심리학으로도 볼 수 있고, 일반심리학적 관점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연애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작 어떤 연구나 확실한 기준이 있는 분야는 아니죠. 그러다보니 개인이 가지고 있는 어떤 스킬(?) 들이 낭설처럼 떠돌고 있습니다. 저는 이런 낭설들은 잠시 뒤로 제쳐두고, 좀 더 믿을 만한 심리학적인, 혹은 과학적인 관점을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특히 저는 남녀사이에 대해서 일반심리학적 관점에서 이야기에 집중을 해보려고 해요. 남녀에게 발현되는, 혹은 인간사이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관점의 심리학들에 대해서 좀 이야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오늘은 그 시작점이 될 것 같은데요, 먼저 다양한 심리학적 효과들을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그 후 차근차근 다른 이야기들을 다루게 될 듯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비어고글효과

심리학중에서 비어고글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우리는 종종 이런 경험을 합니다. 술집이나 클럽 등의 장소에서는 상대가 평소보다 더 괜찮아 보이는 것이죠. 이를 비어고글효과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콩깍지를 좀 더 쉽게 쓰이게 만드는 것이죠. 어두운 조명, 적당한 담배나 술은 사람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장기효과가 아닌 단기 효과이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흔들다리 실험, 귀인오류

비어고글이 사람을 더 호감으로 만들어주는 단기적인 효과라고 한다면, 그것보다 조금 더 강력한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정말로 유명한 실험인 흔들다리 실험, 귀인오류입니다. 흔들다리 실험이란 이렇습니다. 아론슨이 한 실험인데요 큰 강위에 다리가 있습니다. 하나는 흔들거리는 흔들다리이고, 또 하나는 튼튼한 나무다리이죠. 이 다리의 끝에는 여성실험 도우미들이 서있습니다.

남자들이 다리를 건너고 나면 도우미가 설문지 조사를 부탁하죠. 그러면서 실험에 대해서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면 연락을 하라면서 전화번호를 남자들에게 줍니다. 이 경우 안전한 다리를 건넌 사람들보다 흔들다리를 건넌 사람들이 도우미에게 연락하는 비중이 정말 높았습니다. 이 실험이 그 유명한 흔들다리 실험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났을까요?

귀인오류란 원인의 귀착에 대한 오류 라는 뜻입니다. 즉 특정 이유로 상황을 잘못파악하는 것입니다. 위의 실험에서는 흔들다리로 인해 심박수가 빨라진 것이지만, 그것이 상대 여성때문에 빨라진 것이라고 착각을 한 것이죠. 이는 대표적인 귀인오류의 예시가 됩니다. 결론. 마음이 있는 사람과는 심장이 뛸 수 있은 약간은 위험한(?) 곳을 함께 하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이런 다양한 효과들은 사람들의 관계를 규정해줍니다. 사실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는 다양한 심리학적, 관계학적, 과학적, 진화심리학적 요소들이 등장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모두 알수는 없겠죠. 또한 변수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몇가지를 알고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좀 유용하게 써먹을 수는 있겠죠? 이제부터 저와 함께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의 연애의 세계로 떠나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