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의 종류, 보장성보험, 저축성보험, 보장성 종신보험, 연금보험
경제/재테크 2018. 5. 15. 22:33
안녕하세요 지식잡지 네모입니다. 지난번에는 청약에 대한 이야기를 좀 했습니다. 청약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청약가점제와 그 기준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죠. 그리고 그럼에도 할 필요가 있는가? 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습니다. 오늘은 보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보험은 과연 필수적인 것일까요~??
보험의 종류, 보장성보험, 저축성보험
일단 먼저 보험이 무엇인지 아예 개념이 잡혀있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정의와 분류를 해놓고 갈까 합니다. 보험은 좀 쉽게 말해서 미리 금전적인 납입을 통해서 특정한 상황에 이를 받을 수 있게 대비해놓은 상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이 보험에는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보장성보험, 저축성보험, 변액보험입니다.
일단은 변액보험은 좀 나중에 살펴보기로 하고 앞의 2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보장성보험은 재해, 질병 등의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보험금이 지급되는 상품을 이야기합니다. 생명보험, 질병보험, 상해보험등이 이에 해당하겠죠? 저축성보험은 보장성보험과는 다르게 저축기능에 초점을 맞춘 상품으로 중,장기적 목돈을 마련하거나 노후를 대비하는 상품입니다. 연금보험, 저축보험 등이 대표적입니다.
보장성 종신보험
먼저 보장성보험 중 보장성 종신보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봅시다. 이것은 어떤 특정한 사건이 일어나면 큰 목돈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와는 다른개념이죠. 혹시모를 위협에 대비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젊을 수록 빠르게 해야합니다. 나이가 들면 보장성 종신보험의 가격이 더욱 비싸지기 때문입니다.
조건에 따라 목돈이 생기기 때문에 보장성 종신보험을 투자라고 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조금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애초에 위험성을 위해서 들어놓은 것이기 때문이죠. 결론은 더 쌀때인 젊은 시절에 보장성 종신보험 1개는 필수적으로 들어야 한다! 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축성보험, 과연 필요한가?
자 보장성 종신보험은 사실 고민이 필요 없었습니다. 1개를 빠른시일내에 들어야 하죠. 사람의 인생은 너무나 많은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축성보험은 조금 고민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 상품을 통해서 저축을 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곳에 투자를 해야할까요?
먼저 보험사의 특성을 알아봅시다. 보험사는 안정성이 1순위인 회사입니다. 당연하게도 저축성보험의 성과도 아주 미비할 수 밖에 없죠. 우리는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 혹은 그 이하의 돈 정도밖에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사실상 저축성보험은 돈을 모으는 이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죠.
연금보험?
그렇다면 연금보험은 어떨까요? 이것은 약간 다른 유혹입니다. 저축성보험에 연금보험이 포함되지만 안정적으로 돈을 받을 수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도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돈의 가치는 계속해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4%의 물가상승률을 가정한다면 36년후의 1억은 현재의 2500만원의 가치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게 문제죠.
이해되기 쉽게 연금보험의 약점은 가입때에 지급받을 시점을 정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가입하는 때의 가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받는 시점은 미래가 된다는 뜻이죠? 결국 연급보험도 현재의 돈을 내고 불확실한 미래 가치의 반영분을 받게 된다는 뜻입니다. 저축성보험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것이죠.
우리는 좀 더 현명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을 말이죠. 보장성 종신보험은 나이가 어릴때에 빨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고 위험을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축성보험은 우리에게 큰 이점이 없습니다. 현재의 돈은 미래에 가치가 떨어지기도 하고, 수익률이 거의 없기 때문이죠.
간혹 보험에 미쳐있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보험을 투자상품이자 저축상품으로 보고 투자와 저축을 한꺼번에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죠. 하지만, 우리에게 필요한것은 좀 더 객관적인 지표입니다. 우리는 좀 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합니다. 재테크는 확률의 싸움이기 때문이죠. 오늘 다루지 못한 변액보험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지난글보기
청약가점제, 청약가점제 기준, 저축하는 습관, 저축하지 않는 습관, 미국의 50년간 수익률 ←클릭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계약시 기억해야할 사안!, 고지의무, 비례보상, 중복보상, 변동금리상품, 특약상품 (0) | 2018.05.17 |
---|---|
변액보험의 장점, 변액종신보험, 유니버셜종신보험, 변액유니버셜보험, 보장성 종신보험 (0) | 2018.05.16 |
청약가점제, 청약가점제 기준, 저축하는 습관, 저축하지 않는 습관, 미국의 50년간 수익률 (0) | 2018.05.14 |
청약이란?, 청약의개념, 주택청약통장,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주택청약종합저축, 만능청약통장 (0) | 2018.05.13 |
금융권의 구분, 저축은행 안정성, 펀드투자, 실적배당통장, BIS비율, 1금융권,2금융권 (0) | 201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