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하는습관, 통장쪼개기, 수시입출금식예금, 종합자산관리통장, 머니마켓펀드, MMDA, CMA, MMF
경제/재테크 2018. 5. 10. 22:55
안녕하세요 지식잡지 네모입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재테크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난시간에는 절약을 하는 습관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았죠. 우리가 특별하게 버리고 있는 습관들에 대해서 말이죠. 지난번이 나가는 돈을 아끼는 것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오늘은 활용할 수 있는 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버는 돈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저축할것인가? 에 대한 이야기를 할것입니다. 그 전에 먼저 저축하는습관에 대해서 먼저 좀 살펴봅시다. 함께 보시죠.
저축하는습관?
우리가 하는 대표적인 착각이 바로 무조건 저축하는습관은 좋다! 라는 맹신입니다. 우리는 은행이 안정적일 거라고 생각하죠. 그리고는 저축하는습관을 들입니다. 돈을 받으면 그대로 통장에 넣어버리죠. 이는 안정적이고 이자도 붙는 아주 좋은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는 생각보다 멍청한 행동입니다. 저축하는습관은 좋지만, 똑똑하게 저축해야하죠. 그냥 안전성때문에 은행에 돈을 묻어두면 물가상승률조차 따라잡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 저축하는습관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줄 마법의 상품을 살펴볼 것입니다.
통장쪼개기!
통장쪼개기란 말을 들어 보셨나요? 단순히 통장을 몇개로 쪼개는 것을 이야기하는게 아닙니다. 단기, 중기, 장기로 저축계획을 나누어서 그 통장을 쪼개는 것이죠. 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익률을 위해서 입니다. 위험률이 다 다르기 때문에 시기에 맞추어서 자신의 계획을 세우는 것이죠. 우리는 이제부터 몇가지 상품을 살펴볼 것입니다.
MMDA, 수시입출금식예금
수시입출금식예금인 MMDA는 97년 이후에 생긴 예금상품입니다. 예치금액에 따라써 금리가 달라진다고 얘기하지만 확정금리로 이자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것은 MMDA는 예금자보호대상 상품이라는 것입니다. 안정성을 지킬 수 있죠.
하지만 이 다음에 다룰 MMF 보다는 이자율이 낮습니다. 1년이상을 묶어둘 확실한 자금이 있다면 MMDA 보다는 정기예금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이야기 하는 이유는 이자율이 기준금리보다 0.5~1.5% 높다는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입출금도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CMA, 종합자산관리통장
수시입출금식예금의 단점을 확실하게 보완하고 싶다면 CMA인 종합자산관리통장을 봐야합니다. CMA는 일단 안정성이 있습니다. 5000만원까지는 원금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죠. 또한 이체 및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합니다. 이것은 아주 큰 강점이 됩니다.
금리는 기준금리보다 1~1.5%가 높게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이율은 MMDA와는 다르게 확정금리가 아닌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그러니 이율이 조금 더 높죠. 감이 오지 않습니까? CMA 즉, 종합자산관리통장은 바로 월급통장으로 쓰기에 제격입니다. CMA는 투자의 시발점이 될 것이며, 동시에 금리도 높습니다. 이체 및 결제가 가능하니 가장 제격이죠.
MMF, 머니마켓펀드
머니마켓펀드는 말 그대로 펀드입니다. 사실상 가장 투자의 형태에 가깝습니다. 머니마켓펀드인 MMF는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이율 역시 확정금리가 아닌 배당금이 지급되죠. 또한 이체 및 결제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가장 투자율이 높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걱정이되죠. 그렇다면 안정성 문제는 없을까? 실제로 03년 3월 MMF가 원금손실을 낸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에 그 걱정을 하는 것은 좀 과한 우려입니다. 그때의 경험 이후로 운용규정이 대폭 개정되었기 때문에 법규상의 안정성이 상당히 강화가 되었습니다. 그러니 충분히 투자할 만 하죠.
수시입출금식예금(MMDA),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통장(CMA)는 왜 이런 혜택을 주는 것일까요? 아주 쉽게 설명해 보자면 이 상품들은 고객의 자금으로 단기상품에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는 투자하는 기관에 지원을 한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어쨋든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이기 때문이죠.
망설이지 마세요~! 돈을 굴릴 방법은 다양합니다. %로 붙는 돈의 특성상 원금이 커질수록 더욱 그 효과는 커집니다. 이런 차이를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이유죠. 지금 바로 검색과 은행을 들러서 상품을 가입하세요. 큰 차이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지난글보기
절약하는 습관, 은행수수료 절약하기, 담뱃값절약, 커피값절약, 술값절약하기 ←보기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이란?, 청약의개념, 주택청약통장,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주택청약종합저축, 만능청약통장 (0) | 2018.05.13 |
---|---|
금융권의 구분, 저축은행 안정성, 펀드투자, 실적배당통장, BIS비율, 1금융권,2금융권 (0) | 2018.05.11 |
절약하는 습관, 은행수수료 절약하기, 담뱃값절약, 커피값절약, 술값절약하기 (0) | 2018.05.09 |
투자와저축, 복리와 현가, 예상수익률 계산방법 (0) | 2018.05.06 |
재테크 언제 시작해야 할까?, 재테크란 무엇인가?, 재테크 시작은 언제?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