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글보기

윤리란 무엇인가?, 사실명제, 당위명제, 의무론, 목적론 ←클릭


안녕하세요 네게 필요한 모든 지식, 지식잡지 네모지의 편집장입니다. 지난번에 우리는 사회에서 이야기되는 윤리에 대해서 이야기했죠. 윤리란 당위명제로 표현되는 학문을 이야기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실질적 예시와 함께 목적론과 의무론의 입장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죠.


오늘은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윤리절대의와 윤리상대주의, 간트의 정언명법과 벤담의 공리주의, 하이에크와 롤즈에 대해서 직접 언급을 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결론을 내리게 될지 궁금하군요.




윤리절대주의, 칸트의 정언명법


의무론의 대표는 칸트입니다. 이는 윤리절대주의를 주장하기도 했죠. 칸트는 절대적으로 통용되는 윤리법칙을 만들고 싶어 했습니다. 칸트는 윤리가 무너져가는 시대를 살아갔기 때문에 윤리절대주의는 더욱 더 어려운 이야기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칸트는 독특한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바로 칸트의 정언명법입니다. 이것은 독특하죠. 이 아이디어는 이렇습니다. 어떤 행위가 절대적인 윤리이려면 사회구성원 모두가 그 행위를 하면 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것이 좋은 예시가 될 수 있겠죠? 


거짓말은 칸트의 정언명법으로 설명해보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거짓말을 할 경우? 이는 부도덕한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고로 거짓말은 절대적인윤리가 아니라고 볼 수 있죠. 이는 좋은 아이디어 처럼 보입니다. 이는 윤리절대주의의 뼈대가 되었으며 대표하는 칸트의 정언명법은 윤리절대주의의 대표가 되었습니다.




윤리상대주의, 벤담의 공리주의


목적론의 대표는 벤담입니다. 목적론의 입장을 가장 잘 대표하는 것이 바로 벤담의 공리주의입니다. 이는 생각보다 상당히 유명한 개념이기도 합니다. 흔히 말하기를 '절대다수의 절대행복' 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벤담의 공리주의의 핵심개념입니다. 


벤담은 공리주의를 통해 다수의 행복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면, 소수가 희생을 하더라도 절대다수의 행복을 챙겨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왜냐하면 다수의 행복이 있기 떄문이죠. 이를 좀 더 세련되게 발전시킨 것이 바로 밀 입니다. 밀은 행복의 정도 차이를 고려하기 시작했습니다.


밀에 따르면 개인이 -1000만큼 희생해서 얻을 수 있는 다수의 행복이 5000이라면 이 행동은 해야한다. 라고 주장한 것이죠. 벤담의 공리주의는 목적론의 대표가 되며, 윤리상대주의의 절대적인 대표가 됩니다.





하이에크와 롤즈


자 이제 윤리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 수 있겠죠? 이제 좀 더 현대로 넘어와 봅시다. 현대를 지배하는 것은 바로 경제적문제입니다. 그래서 빈부격차에 대해서 윤리론의 입장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표적인 사람들이 바로 하이에크와 롤즈입니다. 각각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하이에크는 신자유주의의 아버지로 평가받습니다. 그가 집중한 것은 경쟁의 공정성 입니다. 자신들의 노력의 결과로 얻은 것들을, 노력하지 않은 자에게 나눠주어야 한다면 이는 공정하지 못한 것이라는 입장이었죠. 이를 시험에 비유해서 하이에크는 설명합니다. 네명의 학생 1,2,3,4가 있습니다.


1은 열심히 공부해서 100점을 맞았고, 2,3,4는 각각 40,30,20점을 맞았죠. 선생님이 말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1등인 것은 변함이 없으니 10점씩을 나누어 격차를 줄이자. 1은70점이 되었고 나머지는 50,40,30점이 되었습니다. 이는 공정합니까? 하이에크는 절차와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의무론적 윤리론에 가깝습니다. 





롤즈의 견해는 이와 반대됩니다. 롤즈는 상류층, 중산층, 최빈곤층 3명의 사람이 있고 이들이 갑자기 모두 기억상실증에 걸리는 상황을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기억을 잃은 후에 무슨 계급인지는 설명해주지 않고, 그저 3명의 사람이 누군지는 모르지만 상,중,하층의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고만 설명해 주는 상황을 가정했습니다.


그럴때 사람들은 복지 확대에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를 가정한 것이죠. 실험결과 사람들은 복지확대를 선택했습니다. 자신이 최하층일 경우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었죠. 롤스는 이런 예시를 들어 복지확대와 빈부격차의 축소를 주장했습니다. 정부의 개입과 부의 재분배를 이야기한 것이죠. 이는 목적론적 윤리관에 가깝습니다.


자, 여러분은 어떤 입장에 서있습니까? 우리는 다양한 관점으로 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하나로 합쳐져있는 사회에 위에서 여러분은 어떤 것들을 선택하려고 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