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진리에 대한 단상, 진리의 세가지 측면, 허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사회 2018. 5. 7. 22:47
안녕하세요 지식잡지 네모지입니다. 오늘은 우리 사회와 진리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진리라는 단어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혹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신 분들 계신가요? 사실 어찌보면 이것은 좀 뜬구름 잡는 이야기인것 같기도 합니다. 오늘은 현대사회와 진리에 대해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진리의 정의, 역사와 진리
먼저 진리의 정의에 대해서 좀 살펴보려고 합니다. 진리란 무엇일까요? 진리의 정의는 물론 다양합니다. 하지만, 오늘은 이렇게 이야기 해볼까 해요.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든지 승인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법칙이나 사실 ' 이것은 사전적인 정의이기도 합니다. 즉 진리의 정의는 어느 시대, 어느때, 누구에게든지 통용 될 수 있는 사실이 있는가? 에 대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놀랍게도 인류의 역사와 진리는 계속해서 함께 흘러갑니다. 진리에 대해서 고민하고 그것을 무엇으로 설정하느냐는 계속된 인류의 고민이었죠. 그리고 각 분야에서 진리에 대한 고민이 직접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언제나 역사와 진리에 대해서 고민해 왔으며, 진리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는 것이죠.
현대사회와 진리
여러분들은 진리에 대해서 생각하시나요? 의외로 역사적으로 진리는 언제나 사람들의 갈망이었다는 사실이 이해가 되시나요? 하지만, 현대사회와 진리는 거리가 좀 멀어보입니다. 왜냐구요?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는 너무나 많은 정보 사이에서 너무 바쁘게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대적인 흐름상의 문제가 있기도 하구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현대사회와 진리는 사실 큰 의미가 없습니다. 진리의 역할은 과학이 본격적으로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죠. 또한 진리에 대해서 관심이 없는, 혹은 중요하지 않은 입장을 채택하는 사람들도 너무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것들은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관점에서 봐야 하는 것일까요? 진리에 대해서 좀 알아봅시다.
진리의 세가지 측면
이에 대해서 최근에 가장 인상깊게 본 구분은 바로 채사장의 지대넓얕에 있는 구분이었습니다. 바로 진리에 대한 세가지 측면에 대한 것이었죠. 이 입장에 상당히 공감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큰 틀에서 보면 모든 사람은 이 3가지 중에 한가지 입장을 채택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바로 진리에 대해서 말이죠. 대표적으로 살펴봅시다.
첫번째는 절대주의 입니다. 이는 시대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통용되는 진리가 존재한다는 입장이죠. 우리가 쉽게 떠올리는 전능한 신의 이미지가 바로 절대주의 입니다. 두번째는 상대주의 입니다. 상대주의는 절대주의를 부정합니다. 절대적인 진리란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아예 진리가 없거나 혹은 진리가 상대적이고 다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찌되었든 하나의 단일된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세번째는 허무주의 입니다. 진리가 있던 말던 현대의 우리에게는 쓸모가 없다는 입장이죠.
세계의 역사는 이 3가지를 관점으로 계속해서 흘러옵니다. 철학도 이 입장들의 싸움이 되었으며, 과학 역시도 이 입장에 대한 싸움위에 있습니다. 물론, 과학은 절대주의와 상대주의가 혼합된 느낌의 과학적 방법론을 보이면서 현대의 진리를 대채하고 있기는 합니다. 종교 역시도 진리의 밑바탕에 있죠.
허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그런데 우리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저 입장에는 관계가 없어 보이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현대적 실용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은 허무주의의 바탕위에 존재합니다. 그러니 우리는 어딘가에 속해서 살아가는 것이죠. 과학을 믿으면서도, 허무주의의 입장에 있을수도 있고, 종교과 허무주의를 동시에 생각하기도 합니다. 현대사회와 진리는 생각보다 깊은 관계를 맺고 있죠.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이런 고민들을 하고 있으신가요?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시, 저출산 해결책, 동거, 출산율, 보이지 않는 가치, 젊은층, 수능, 학점, 스펙, 취업 (0) | 2018.07.11 |
---|---|
경북도지사, 이철우의원, 출산율, 젊은이 개새끼론, 저출산 원인, (0) | 2018.07.10 |
북한은 왜 주한미군철수를 요구하지 않는가?, 남북정상회담,북중관계,한반도정세,적화통일? (0) | 2018.05.02 |
무차입공매도, 유령주식사태, 개미투자자의 한계, 모럴헤저드, 삼성즌권 유령주식사태, 삼성증권의 대책 (0) | 2018.05.01 |
삼성공매도사태, 삼성주식 배당금, 공매도란?, 무차입공매도, 유령주식사태 (0) | 2018.04.30 |